분류 전체보기57 2022년 벚꽃 개화 시기, 서울지역 벚꽃 명소 추천 2022년 벚꽃의 개화를 보면, 제주도의 경우 3월 29일 제주와 서귀포 벚꽃이 만발했다. 제주를 필두로 경동, 부산 지역 역시 벚꽃이 피고 있다. 서울, 경기권은 아직 벚꽃이 개화하지 않았다. 올해 서울의 벚꽃 개화시기는 언제일까? 벚꽃의 개화시기와 함께 서울지역 벚꽃길 명소를 알아보자. 1. 서울지역 벚꽃 개화 예상시기 기상청 정보에 따르면 올해 벚꽃은 서울의 경우 4/1 전후로 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벚꽃이 만개하는 절정은 4/8일쯤으로 예상된다. 보통 벚꽃 개화는 한 나무에서 임의 한 가지에 세 송이 이상 꽃이 활짝 피었을 때 '개화'라고 한다. 개화에서 벚꽃의 절정이 되는 '만개'에 이르기까지는 보통 개화 후 7일 정도 소요된다. 2. 서울지역 벚꽃길 개방 및 벚꽃 축제 여부 코로나 팬데믹으.. 2022. 4. 5. 세대별 코인 분류 - 1세대, 2세대, 3세대 코인 코인을 기능별로 구분하기도 하고 세대별로 구분할 수도 있다. 세대가 지날수록 기술이 진화되기 때문에 코인도 진화한다. 1세대 코인은 비트코인, 2세대 코인은 이더리움, 3세대 코인은 카르다노(ADA), 이오스(EOS) 등 이더리움 이후 나온 플랫폼 코인을 말한다. 기능에 따른 코인의 분류 - 플랫폼 코인, 유틸리티 토큰, 거래용 코인 1. 1세대 코인 : 비트코인 1세대 코인은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다. 비트코인은 탈중앙화를 목표로 탄생한 코인으로, 은행과 같은 중앙기관 없이도 신뢰할 수 있는 화폐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비트코인 블록체인은 '거래장부'의 역할을 한다. 블록마다 돈을 주고받은 사람, 액수 등 거래내역이 저장되게 된다. 즉 비트코인은 은행의 역할을 대신하는 금융 거래 .. 2022. 4. 4. 기능에 따른 코인의 분류 - 플랫폼 코인, 유틸리티 토큰, 거래용 코인 코인은 기능에 따라 세 종류로 구분이 가능하다. 그 세 가지 종류는 바로 플랫폼 코인, 유틸리티 토큰, 거래용 코인이다. 코인을 공부하기 위해서 우선 코인의 큰 줄기인 코인의 종류를 알아보자. 1. 플랫폼 코인 플랫폼 코인은 쉽게 말해 iOS와 같은 운영체제를 말한다. 플랫폼 코인은 유틸리티 토큰이 잘 구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앱 생성 툴의 역할을 한다. 앱 개발자가 플랫폼을 선택할 때,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 비용, 속도를 고려하여 선택할 것이다. 코인 투자자도 마찬가지다. 플랫폼 코인에 투자하기 전, 플랫폼 위에 어떤 유틸리티 토큰이 있는지, 플랫폼 코인의 생태계 규모를 공부할 필요가 있다. 해당 플랫폼에 속하는 코인이 많을수록 플랫폼 코인이 좋게 평가될 가능성이 높다. 플랫폼 코인의 대표.. 2022. 4. 3. 코린이를 위한 코인 필수 용어 2 - 토큰, 메인넷,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 토큰, 메인넷, 포크는 코인 생태계에서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있을까? 매일경제신문사의 '코린이를 위한 코인의 모든 것'이라는 책을 읽고 공부하는 의미로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1. 토큰 '토큰'은 기존 코인 네트워크를 활용해 만든 코인이라는 뜻이다. 즉 독자 플랫폼을 구축하지 못한 '베타 버전'과 비슷하다. '토큰'이라는 말도 'ERC-20 토큰'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이더리움이라는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을 빌려 개발, 운용하는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말한다. 현재 거래되는 대부분의 코인이 이더리움에서 파생되었는데, 이더리움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ERC-20 토큰이 만들어졌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트론, 이오스, 퀀텀도 처음에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빌려 출발한 코인이다. 더 쉽게 표현하자면.. 2022. 4. 2. 이전 1 2 3 4 5 6 7 ··· 15 다음